https://github.com/rmdkak/Quiz-Play-Ground
GitHub - rmdkak/Quiz-Play-Ground
Contribute to rmdkak/Quiz-Play-Grou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튜터님 피드백
- 로딩중 이미지 굿
- 로그인 유도 할 장치 필요( 댓글 투명, 로그인 해야 볼 수 있도록..)
- eslint 굿
- 커스텀 훅 굿
- optimistic 하고 debouncing 처리까지 해주면 더 굿(불필요한 클릭까지 고려)
- 트러블 슈팅 설명 굿굿
K - Keep
- Eslint 사용으로 인해 수월해진 디버깅 (너무너무 철저한 예외 처리)
- 공용 컴포넌트를 다양한 커스텀 조건으로 생성
- 논리적인 이유를 근거로 기술스택 선정
-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해두고, 나름의 기한을 정함..
-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한별님의 의지
- 끊임 없이 디테일한 오류 수정 ..
P - Problem
- Eslint 초기 설정
- 데이터가 유지될 곳은 웬만하면 브라우저의 스토리지(local / session)를 사용하자. 데이터 유실이 너무 많다
- 기능할 구현을 세세하게 정하지 못해서 갈수록 할 일이 늘어난 점 (기능 완성이 점점 늦춰짐)
- 하나의 스테이트로 수많은 상태처리를 할 생각은 지양
- 반응형 UI를 고려하지 못한 부분
- 디자인을 처음부터 확실히 정하고 작업을 시작 했어야 함.
- 생각보다 작업처리를 하면서 시간적인 부분을 조정하지 못한 부분 → 결국 코드 스플리팅을 못했다.
- 반복적인 서버 통신 호출이 많아서 발표 30분 전에 firebase 서버 터짐
T - Try
- Eslint 설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과감하게 OFF하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커스텀 설정
- 전체 디자인 및 반응형 UI는 기획 단계부터 확실하게 정하고 시작하자
- 서버와 통신을 최소한으로 하도록 고려하며 API를 사용하자 (최적화)
- 괜히 고집부리면서 쓸건 쓰고 안쓴다고 하지 말자
- 계획을 더 세세하게 정하자 (마감일, 기능별 세세한 분리)
- 서비스 런칭할 시에는 배포 전에는 반드시 서버 관리를 하자
- API 명세를 미리 설정하여 → 데이터의 형식을 고려한 DB 설정 (SQL / noSQL)
- react-hook-form 사용을 고려
소감
- [성훈님] 만만하게 봤다가 된통 당한 프로젝트였습니다 승차감 최고였습니다 캐뤼~~
- [수민님] 하면 할수록 늘어나는 작업량에 놀랐지만 저희 조 최고
- [희연님] Eslint 엄청 욕했는데 하다 보니까 또 괜찮은 것 같기도.. 한별님 엄청 고생하셨슴댜..
- [한별님] 길을 잃었을 때 팀원들의 도움으로 이겨나갈 수 있었어요..ㅠ 감사합니다 다들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