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oute 53
DNS
- Domain Name System
- 주소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시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
- 모든 기기들은 IP 주소를 갖고 있으나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환할 필요가 있다.
- URL
- Top Level Domain
- Second Level Domain
- Subdomain
- Protocol
- ISP
- KT, SK, LG U+
- DNS 서비스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
- Root DNS Server
- 가장 상위
- 도메인의 TLD DNS Server의 주소를 알아낸다.
-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들에 의해 운영된다.
- TLD DNS Server
- .com / .net / .kr 등의 TLD를 관리하는 서버
- 해당 도메인 이름이 속한 SLD DNS Server 주소를 알려준다.
- SLD DNS Server
- 도메인 이름의 중간 레벨에 해당하는 DNS 서버
-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알려준다.
- Root DNS Server
레코드 타입
- A : 호스트네임과 IPv4 주소를 연결
- AAAA : 호스트네임과 IPv6 주소를 연결
- CNAME : 호스트네임을 다른 호스트네임과 연결, 다른 호스트네임은 반드시 A 또는 AAAA 레코드가 있어야 한다.
- NS : 호스트존의 네임서버를 지정
- CNAME & Alias
- 둘 다 DNS 레코드 유형
- 호스트 이름을 다른 호스트 이름에 매핑하는 데 사용한다.
- CNAME 레코드는 이전에 정의도니 호스트 이름의 모든 레코드를 복사하여 새 호스트 이름에 할당한다. 루트 도메인이 아닌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.
- Alias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을 Amazon S3 버킷, Elastic Load Balancer 또는 Amazon CloudFront 분산 된 웹 사이트와 같은 AWS 리소스에 매핑한다. AWS 리소스에 대한 DNS 레코드를 만들 수 있다.
TTL
- Time to Live
- DNS 레코드가 캐싱될 수 있는 최대 시간
- TTL이 높을수록 DNS 레코드가 캐싱될 수 있는 시간이 더 길어지므로, 캐시 효율성이 더 높아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