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주에 알게된 것
- React에서 화면을 렌더링 되기 위해서는 State가 변경되어야 한다.
- useState hook을사용해서 변수를 관리해줘야 한다.
- 만약 State가 객체일 경우에는 불변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. (spread operator 등)
- map() 메서드
- 인자로 콜백함수를 받을 수 있다.
- 만약 콜백함수의 return값이 한줄이라면 생략해서 작성 가능하다. (a)=>a*2
- 만약 콜백함수의 return값이 한줄이 아니라면 괄호 안에 멀티라인으로 작성 가능하다.
- return을 쓰지않으면 undefined가 반환된다.
- onClick과 onChange
- 해당 메서드로 event를 제어할 수 있다.
- evnet 제어 시 인자로 event를 받아야 한다. onChange = {(event)=>event.target}
- props
-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요소를 전달해줄 수 있다.
- <Parent name={name}>children</Parent>
- 받아온 props를 사용할 때 구조분해할당으로 받으면 어떤 요소를 받았는지 확인하기 쉽고, props 사용이 간단해진다. function Child ({name}) {return()}
- != 과 !==
- 비교연산자
- 같은 값인지 비교하여 다른 값일 경우 true를 반환한다.
- 단, !=은 같은 유형의 자료가 아니라면 유형을 변환해서 비교하게 된다.
- 1 != 1 과 1 != '1'은 같은 결과값을 갖는다.
- !== 연산자는 양쪽의 자료형이 다르다면 무조건 false를 반환한다.